티스토리 뷰

건강

독감 감기 차이, 같은 질환일까요?

알 수 없는 사용자 2018. 2. 12. 00:00



환절기가 찾아오고 날이 추워지면

독감과 감기 환자가 늘어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종종 독감과 감기가 거의 유사하다고 생각하거나,

감기가 더 심해지면 독감이 된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종종 있지요.



그러나 독감과 감기는 그 원인과 증상에 있어서

차이점이 분명히 있는 전혀 다른 질환이랍니다.



< 독감 감기 차이 - 원인 >

우리가 감기에 걸리는 원인은 바로 바이러스입니다.

그러나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총 200여 종 이상으로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는 굉장히 다양하지요.


그중에서도 환절기에는 리노 바이러스

추운 겨울철에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특히 기승을 부린답니다.

감기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의 종류가 너무 많아

감기 예방을 위한 예방백신을 만들 수 없답니다.



반면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구체적인 원인인데요.

A, B, C의 3가지 형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있고,

예방을 위한 예방백신이 있는 것이 독감 감기 차이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랍니다.






< 독감 감기 차이 - 증상 >

감기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하루 이틀에 걸쳐 서서히 증상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감염 환자의 신체 건강 상태나

컨디션에 따라서 증상의 정도가 달라집니다.


보통 콧물, 코막힘, 인후통, 기침, 발열 등의 증상입니다.

감기는 2주 이내에 차차 나아집니다.



반면 독감은 전신에 걸쳐 두통과 발열, 오한, 피로감,

근육통 등의 증상이 비교적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그러면서 기침이나 콧물, 인후통이 동반되는 양상입니다.

뿐만 아니라 구토나 설사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 독감 감기 차이 - 예방 >

감기는 앞서 언급했듯이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의 종류가  무수히 많습니다.

이런 많은 바이러스들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려면

손을 자주 씻고 환절기나 추운 계절에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예방책이 될 수 있습니다.



또 건강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통해

근본적인 면역력을 기르는 것도 중요하겠습니다.


반면, 독감은 70~90%의 확률로 백신을 통한 예방이 가능합니다.

노인, 유아나 어린이, 호흡기나 심혈관계 만성질환자 등은

1년에 한 번 독감 예방 접종을 맞는 것이

독감 예방에 효율적입니다.





댓글